[셀] 돈줄 막힌 K배터리, 구식라인으로 버텨…'中에 계약 뺏기고 있다'
출처 : 한국경제 (2025.7.1.)

삼성SDI, 兆단위 투자금 부족
최신 설비투자 못해 일부만 증설
SK온도 남은 부지 놀리고 있어
빅3, 유럽 가동률 절반에 그쳐
6월 20일 방문한 SK온의 헝가리 이반처 공장. 양극-분리막-음극 순서로 30겹 넘게 쌓은 젤리롤이 1분에 240개씩 쏟아져 나왔다. 다음 공정에서 젤리롤을 맞은 건 로봇 팔이었다. 젤리롤을 파우치로 척척 감싸니 하이니켈 파우치 배터리가 됐다. 소재와 제품 운반은 무인운반로봇(AGV)이 맡고, 각종 검사에는 인공지능(AI)이 활용됐다. 지난해 2분기 가동에 들어간 이 공장은 인력 투입을 최소화하는 식으로 생산원가를 낮추고, 수율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등 성과를 냈다. 하지만 직원들의 분위기는 그리 밝지 않았다. 이 공장 옆에 짓기로 한 2공장 건립이 하염없이 늦춰지고 있어서다. 유럽 시장을 잡으려면 ‘규모의 경제’를 만들어야 하는데, 자금을 구할 데가 마땅치 않아서다.
◇추가 투자 여력 사라져
유럽에서 한국 배터리 업체들의 시간은 멈춰 있다. 적기에 투자하지 못해서다. 2018년 헝가리 괴드에 연 40GWh 규모 공장을 세운 삼성SDI가 그렇다. 구형 라인을 교체해야 하지만 자금 압박에 꼭 필요한 설비만 바꾸고 있다. 투자해야 할 곳이 워낙 많다 보니 지난 5월 유상증자로 마련한 1조6500억원 중 4000억원만 헝가리 공장에 배정됐다.
유럽에서 움츠러들기는 국내 1위 LG에너지솔루션도 마찬가지다. 2018년 완공한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을 90GWh로 확충했지만, 지난해부터 추가 투자를 멈춘 탓에 여전히 구식 라인을 돌리고 있다. SK온 역시 2020~2022년 헝가리 코마롬에 세운 1, 2공장 업그레이드를 뒤로 미뤘다. 이반처 공장 옆에 30GWh짜리 2공장 부지를 마련했지만, 아직 투자 계획도 세우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유럽 자동차 업체들은 한국 배터리 3사와 맺은 계약기간이 끝나면 곧바로 CATL 등 중국 업체의 최신 생산라인으로 갈아타고 있다. 2년 전 100%에 가까웠던 배터리 3사의 유럽 공장 평균가동률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이유다. 올 1분기 유럽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3.9% 늘었지만, 국내 배터리 3사의 유럽 매출은 감소했다.
◇“직접환급제 등 정부 지원 절실”
배터리업계는 자금난을 풀어줄 정책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2차전지는 반도체 못지않게 한국을 먹여살릴 국가 전략산업이란 이유에서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2차전지는 전기차뿐 아니라 휴머노이드 등 모든 미래산업에 필수품으로 들어간다”며 “투자 시점을 실기하면 국가 전체적으로 손실이 날 게 뻔한데도 정부는 수수방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배터리 투자금액에 대한 직접 환급제 도입과 배터리 펀드 조성 등을 요구한다. 직접 환급제는 투자금액에 비례해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다. 미국과 중국 등 다른 나라는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한국만 법인세를 깎아주는 방식을 고집하고 있다. 적자로 인해 법인세를 내지 않는 SK온은 아무리 많이 투자해도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한다. 직접 환급제가 도입됐다면 국내 배터리사들은 지난 3년간 1조원을 돌려받을 수 있었다.
정부·민간 합작 펀드도 대안으로 거론된다. 유럽과 중국은 정부·민간이 공동 투자해 공동 수익을 기대하는 펀드를 운용한다. 보릿고개를 넘길 수 있는 ‘비상식량’을 건네면 훗날 큰 수익을 안겨줄 산업이란 점에서 투자 수요가 있을 것으로 배터리업계는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