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한국경제 (2025.3.28)

“우리는 단순히 공장을 짓기 위해 이곳에 온 게 아닙니다. 뿌리를 내리기 위해 왔습니다.”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준공식. 연단에 오른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우리는 기술과 자동차에만 투자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관계에 투자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현대차그룹의 상징색인 파란색 반팔 티를 입은 HMGMA 근로자 200여 명은 정 회장의 영어 연설에 귀를 쫑긋 세웠다. 정 회장은 “이곳에서 여러분과 함께 성장하겠다. 여러분이 현대”라며 미국 투자를 계속 늘리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연 100만 대 생산체제를 구축했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카 연 3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HMGMA가 이날 공식 가동에 들어가면서다. 현대차그룹은 앨라배마(현대차)와 조지아(기아)에 각각 연 36만 대, 34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80억달러(약 11조7000억원)를 투입한 HMGMA는 서울 여의도 면적의 4배에 달하는 1176만㎡ 부지에 프레스와 차체, 도장 등 완성차 생산은 물론 부품 계열사와 배터리셀 합작 공장까지 들어섰다. 현대차그룹은 이렇게 미국 생산량을 늘려 다음달 3일부터 수입차와 핵심 자동차 부품에 부과되는 25% 관세 파도를 넘는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먼저 HMGMA의 생산능력을 20만 대 늘리기로 했다. 호세 무뇨스 최고경영자(CEO·사장)는 이날 “HMGMA 준공과 동시에 20만 대짜리 새 공장을 짓기로 했다”고 말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는 “리본 커팅(준공식)을 할 게 아니라 삽(착공식)을 떠야 할 것 같다”며 엄지를 치켜세웠다.
증설이 완료되면 현대차그룹의 미국 생산능력은 연 120만 대로 올라간다. 작년 미국 판매량(171만 대)의 70%가량을 현지에서 생산하는 셈이다. 현지 생산 물량에는 관세가 붙지 않는 만큼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폭탄’ 부담을 덜 것으로 현대차그룹은 기대하고 있다.
업계는 현대차그룹이 판매량 기준으로 미국 시장 ‘빅3’에 들어갈 발판을 마련했다고 분석했다. 작년 미국 판매량(171만 대)을 유지한 상태에서 HMGMA 생산물량(30만 대)이 더해지면 지난해 미국 판매 3위인 포드(207만 대)와 엇비슷해지기 때문이다. 3~4년 뒤 증설(20만 대)이 끝나면 1위 제너럴모터스(GM·269만 대)와 2위 도요타(233만 대)도 추격 범위 안에 들어온다. 정 회장은 “약속대로 210억달러를 투자해 미국 전역에서 사업을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소니 퍼듀 전 조지아 주지사와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회장의 파트너십이 현대차그룹의 조지아 투자에 초석이 됐습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준공식에서 퍼듀 전 주지사의 이름을 부르자 객석에서 박수가 쏟아졌다. 퍼듀 전 주지사는 2006년 정 명예회장에게 공장 부지와 세금 감면 등 4억1000만달러에 이르는 인센티브를 제시해 기아의 투자를 이끌어 냈다. 이걸 계기로 조지아주는 미국 자동차산업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당시 기아 해외담당 사장인 정 회장은 조지아 공장 건설 실무를 도맡았다.
정 명예회장과 정 회장으로 이어진 현대차그룹의 미국 개척사가 ‘100만대 생산 체제 구축’이란 결실을 맺었다. 정 명예회장이 2005년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2010년 기아 조지아 공장을 세우면서 심은 ‘씨앗’을 정 회장이 HMGMA로 ‘꽃’을 피웠다.
정 회장이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일관제철소’를 짓기로 한 것도 정 명예회장과 닮은꼴이다. 정 명예회장은 “좋은 차는 튼튼한 강판에서 나온다”며 2010년 충남 당진 일관제철소를 건설해 ‘쇳물부터 자동차까지’라는 현대차그룹의 수직계열화를 완성했다.
정 회장이 HMGMA를 계획한 것은 2019년부터다.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연 36만 대)과 기아 조지아 공장(연 34만 대) 등 연 70만 대 생산 능력으론 미국 시장에서 더 크게 성장하기 어렵다고 봤기 때문이었다. 그해 현대차(71만 대)와 기아(61만 대) 미국 판매량은 132만 대에 달했다. 1998년까지 20만 대에 못 미치던 현대차·기아의 미국 판매량이 2000년 40만 대를 넘어서자 정 명예회장이 “미국에서 만들어 팔아야 한다”며 현지 공장 건설을 결정한 것과 궤를 같이한다.
2022년 10월 착공에 들어간 HMGMA 건립에는 적지 않은 난관이 있었다. 코로나19 여파로 건설 인력난이 심해졌고, 자재값도 치솟았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은 공사기간 단축에 올인했고 착공 2년 만인 지난해 10월부터 아이오닉 5 생산에 들어갔다. 이달부터는 아이오닉 9 양산에 돌입했다.
첫 그룹 통합 공장인 HMGMA에서는 기아와 제네시스도 함께 생산한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HMGMA 생산 물량의 40%는 기아 차종이 될 것”이라며 “내년 중반께 미국에서 인기가 많은 하이브리드카부터 생산할 계획”이라고 했다.
현대차그룹은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폭탄’ 등 세계 무역 질서 변화 흐름 속에 미국 생산 확대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로 보고 있다. 이를 감안해 HMGMA의 20만 대 증설(30만 대→50만 대) 채비도 끝냈다.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은 “20만 대를 증설할 수 있는 부지와 부품 공급망 등은 준비됐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현대차그룹이 HMGMA 준공 및 증설로 미국 현지 생산능력을 120만 대까지 끌어올린 뒤 중장기적으로 200만 대 생산 체제를 갖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생산 확대에 따른 국내 자동차 생산 축소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모빌리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OEM] BYD, 2024 세계 전기차 매출 1위 기업 (0) | 2025.03.26 |
---|---|
[OEM] 현대차, 美 31조 투자…트럼프 "위대한 기업" (0) | 2025.03.26 |
[OEM] BYD, profit rose 34% and revenue 29% compared to last year (0) | 2025.03.25 |
[OEM] 도요타, 日배터리공장 착공 연기 (1) | 2025.03.25 |
BYD, ‘5분 충전으로 400㎞ 주행’…한L,탕L 출시예고 (1)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