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뉴스📰 글로벌 스토리🌏

모빌리티🚗/배터리🔋/IT📱

글로벌 스토리🌏

[주요한경] 2023년 5월 넷째 주

스토리 킹 2023. 6. 12. 08:46
728x90

2023.5.22(월)

윤석열 대통령과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21일 차량용 반도체와 전기차 배터리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출처 : 한국경제

구체적으로는 양국 간 교역·투자 관계를 반도체와 바이오, 청정에너지첨단산업과 방위산업 등으로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숄츠 총리는 “전기차나 배터리 생산 부문에서 한국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도 양국이 자동차 제조에서 국제 경쟁력을 갖췄다는 점을 언급하며 “차량용 반도체를 중심으로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숄츠 총리는 윤 대통령과 정상회담 전 비무장지대(DMZ)를 찾아 북한의 핵·탄도미사일 개발에 대해 “이 지역(한반도)의 평화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규탄했다. 두 정상은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도 공감대를 이뤘다. 숄츠 총리는 “한국·일본 등과 협력을 추진하며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다.

2023.5.23(화)

세계 최대 석유기업인 엑슨모빌이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리튬 채굴에 나선다.

출처 : 한국경제

엑슨모빌리튬 채굴을 위해 미국 아칸소주 남부에 있는 12만 에이커(약 485.6㎢) 규모의 리튬 매장지를 탐사업체인 갈바닉에너지로부터 사들였다고 보도했다. 매입 가격은 1억달러(약 1320억원) 이상으로 알려졌다.엑슨모빌은 몇 개월 내 이곳에서 리튬 채굴을 시작하고, 수익성이 입증되면 채굴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차 시대를 대비하는 동시에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수 있다는 점을 전략적으로 판단한 결과다. 

‘하얀 석유’로 불리는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 원가의 40%를 차지하는 핵심 광물이다. 전기차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배터리 기업뿐 아니라 완성차 업체까지도 리튬 확보전에 뛰어들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리튬 정제사업을 ‘돈 찍어내는 면허’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리튬 산업리튬 정광을 채굴하거나 염수호(소금물 호수)에서 리튬을 뽑아내는 원재료 생산과 이를 제련해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공정 등으로 나뉜다. 염수호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작업은 원유 시추 및 배관 추출, 가공 작업과 비슷해 석유기업이 채굴에 나설 경우 유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 사업과 관련해 미국 내 생산으로는 리튬 수요를 감당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리튬 생산지에서 채굴권을 얼마나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특히 칠레와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등 남미 3개국이 세계 리튬 매장량의 60%를 보유하고 있다. 남미에서 강해지고 있는 자원 국유화 흐름을 어떻게 돌파할 것인지도 엑슨모빌의 과제로 꼽힌다.

중국의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제재로 미·중 갈등이 격화하면서 한국 반도체 기업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출처 : 한국경제

미국의 반도체 규제가 더욱 강화되면서 중국 사업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대표적이다. 중국이 자국 반도체 기업 육성에 나서면서 한국 기업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낮아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중국은 전날 “마이크론 제품에서 비교적 심각한 보안 문제가 있다”며 “중요한 정보 시설 운영자는 마이크론 제품 구매를 중지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산업계에선 중국의 조치를 미국의 대중국 장비 수출 제재에 대한 보복 조치로 보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이에 대해 “사실상 근거가 없는 제한에 단호히 반대한다”는 성명을 내놨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마이크론 제재에 따라 공급량을 늘리며 ‘반사이익’을 누릴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이 지난달 한국 정부에 “마이크론의 중국 판매가 금지되더라도 한국 기업이 부족분을 메우지 말라”고 요청한 영향이 크다.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주로 YMTC, CXMT 등 중국 반도체 기업이 메울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도체업계에선 미·중 갈등 격화에 따른 불확실성 고조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마이크론 사태를 계기로 미국이 중국 반도체 산업 규제를 강화하면 한국 기업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중국 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