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뉴스📰 글로벌 스토리🌏

모빌리티🚗/배터리🔋/IT📱

IT📱

[ICT] 애플과 삼성의 탈중국 공급망

스토리 킹 2023. 10. 2. 09:45
728x90

출처 : 유튜브 채널 Wall Street Journal "Inside Apple’s and Samsung’s Supply Chain Shift Away From China | WSJ"(2023. 5. 30. )

1. 현황

삼성전자

2008년 - 중국에 공장 다수

2022년 - 중국에 하나도 없고 전부 동남아로 공장 이전

2. 삼성전자와 애플의 공급망 탈중국

1. 기본정보

2008년 1인당 GDP : 베트남(약 1,000달러), 중국(약 3,000달러), 인도(약 1,000달러)

2019년 1인당 GDP : 베트남(약 3,500달러), 중국(약 10,000달러), 인도(약 2,000달러)

2023년 1인당 GDP : 베트남(약 4,000달러), 중국(약 12,000달러), 인도(약 2,000달러)

2. 삼성전자의 공급망 탈중국 

2008년 : 삼성은 베트남 박닌 지역에 공장 설립.

이유1 : 인건비, 운영비용 감소 목적(베트남 1,000달러 VS 중국 3,000달러) -->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자국 브랜드로 인해 삼성과 애플의 중국 시장 점유율 감소 요인. 삼성이 저가 제품 라인 생산을 수월하게 해줌

이유2 :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목적. 지정학적 리스크 대비 --> 트럼프 정부(2017~2021) 부터 시작된 서구VS중국 갈등(ex: 관세 등) 대비 성공적

이유3 : 공급망 다각화. 공급망 리스크 대비 --> 2020년 코로나 대비 성공적 

결국, 2019년에 중국에 있는 스마트폰 공장 다 철수. ALL 동남아로 이동. --> 1년 후, 코로나 팬데믹 시작.(삼성전자 선견지명 ㄷㄷㄷㄷㄷ)

중국은 코로나 팬데믹 때 굉장히 엄격한 격리 제도를 실행했음. 이로 인해 애플도 탈중국 공급망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추진함.

2008년 베트남 박닌 지역 삼성전자 스마트폰 공장
2014년 삼성과 애플이 중국 자국 브랜드에 밀림.
8년새 70% 감소한 삼성의 중국 직원 수
트럼프 정부 시절 중국과의 지정학적 긴장. (대중국 제품 관세 추가)

3. 애플의 공급망 탈중국

중국은 코로나 팬데믹 때 굉장히 엄격한 격리 제도를 실행했음. 이로 인해 애플도 탈중국 공급망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추진함.

특히, 2022년 폭스콘 정저우 공장의 직원들이 격한 시위를 벌이면서 애플은 탈중국 공급망을 더욱 강화하기 시작했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강도 높은 격리를 겪은 직원들이 상여금을 지연지급 받을 거라는 소식에 분노하여 폭동을 일으킨 것이다.

2022년 폭스콘 정저우 공장 폭동 이후 애플은 탈중국 공급망 계획을 가속화한다.

 

3. 삼성전자와 애플의 새로운 공장 지역

삼성전자와 애플의 탈중국이 촉발된 시기와 이유는 다르더라도, 새로운 제조 지역의 목적지는 같았다. 인도와 베트남.

1. 베트남

삼성전자는 베트남에서 법인세 10%를 내는 반면, 중국에서의 법인세는 25%다. 이제 삼성은 전체 스마트폰의 50%를 베트남에서 제조한다.

애플 또한 베트남에서 워치와 아이패드를 일부 생산한다. 애플의 2022년 TOP 200 SUPPLIERS LIST에서 25개의 공급사가 베트남에 있다. 4년전인 2018년에 비해 40% 증가한 수치다(20개->25개).

2. 인도 

모건 스탠리에 의하면, 삼성 스마트폰의 20~30%가 인도에서 생산되며 그 수치가 지속적으로 증가 중이다. 특히, 2022년에 세계에서 가장 큰 스마트폰 공장을 뉴델리 근처에 준공하였다. 삼성의 이러한 적극적인 움직임 덕분에 세계 스마트폰 시장규모 2위인 인도에서 위상을 공고히 하고있다. 2022년 기준 인도에서 삼성의 시장점유율은 약 20%이다. 애플은 겨우 3.5% 정도이다. 

인도의 스마트폰 시장규모는 세계 2위이며 가파르게 성장중인 시장이다.
인도에서 판매중인 갤럭시 A14 5G 시리즈 광고.
2022년 인도 삼성 점유율 약 20%, 애플 약 3.5%

팀 쿡은 인도 시장을 MAJOR FOCUS FOR US 라며 그 중요성을 상기했다. 애플도 인도 시장 공략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애플은 2023년 아이폰 14 시리즈 일부를 인도에서 생산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인도에서 아이폰을 생산하고 이를 주위 동남아시아 국가에 공급하는 방식이 더욱 안정적이며 탄력적인 공급망이라고 한다.

애플은 장기적으로 40~45%를 인도에서 생산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아직 인도 내 생산 비율은 한자리 수 일지라도 말이다. 

애플은 장기적으로 40~45%를 인도에서 생산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편, 애플은 미국 내로 생산기지를 들여오는 방식으로 공급망을 다각화하기도 한다. 브로드컴과 수십억 달러 칩 공급계약을 체결한 것이 그 사례다.

브로드컴과 칩 공급계약을 맺으며 공급망을 미국 내로 들여오는 애플.

4. 한계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탈중국 공급망은 불가능하다. 정치적인 이유도 작용할 뿐더러, 특정 부품은 중국에 의존해야하기 때문이다. 

서구권과 중국의 지정학적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두 기업은 섬세한 공급망 다각화 작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