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6.12(월)
현대차에 삼성반도·SK배터리·LG패널…'K-전차연합' 뜬다
첨단 부품 경쟁력이 중요한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시대가 다가오면 ‘4대 그룹 전장동맹’은 더 단단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가 14나노미터(㎚·1㎚=10억분의 1m) 공정에서 제조한 차량 인포테인먼트시스템(IVI)용 통합칩셋(SoC) ‘돌핀 플러스(+)’가 현대차의 프리미엄 세단 제네시스에 장착된 것으로 확인됐다. IVI용 SoC는 차량에서 실시간 운행정보 등을 처리하는 반도체다. 설계는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기업)인 텔레칩스가 맡았다.
한국산 전장 부품의 기술력이 해외에서 먼저 인정받는 사례도 늘고 있다. 예컨대 삼성전자는 IVI용 반도체를 아우디, 폭스바겐 등에 납품했다. LG디스플레이는 2021년 벤츠에 디지털콕핏용 OLED를 공급한 이후 고객사를 확대하고 있다.
현대차도 국내 기업들과의 협업에 공을 들이는 분위기다. 한국을 중심으로 미래차 핵심 부품의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어서다. 운송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현대차 본사와 가까운 곳에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부품업체들이 생긴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4대 그룹의 협업 사례가 많아질수록 국내 전자·자동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관련 중소·중견기업 생태계가 강화되는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된다.
기업 아우성에도…회계비용 2배 늘린 세계 유일 '지정감사제' 유지
1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주요 회계제도 보완 방안’을 발표했다. 금융당국이 일정 주기로 정부가 외부감사인(회계법인)을 강제 배정하는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를 현행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기업이 종속회사까지 아울러 전산시스템을 통해 재무제표를 작성·공시토록 하는 연결 내부회계 관리제도도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하는 방침을 유지한다. 그동안 감사시장 왜곡, 경영상 부담 확대 등 부작용이 커 두 제도를 보완·폐지해야 한다고 요구해온 경영계는 강하게 반발했다.
금융위는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는 당분간 현행을 유지한다”며 “2020년 시행한 뒤 3년밖에 지나지 않아 아직 정책 효과를 가늠할 만큼 충분한 자료가 쌓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는 기업이 6년 연속 자율적으로 감사인을 선임하면 이후 3년간은 금융위 증권선물위원회가 감사인을 지정하는 제도다. 경영계는 한국에만 있는 이 제도를 도입한 이후 회계투명성 개선을 체감할 수 없고 감사비용 급증 등 감사시장 왜곡이 큰 만큼 폐지하거나 자율선임 기간을 9년 등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요구해 왔다.
정 부회장은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기준 한국의 회계 투명성 순위는 2019년 61위에서 지정감사제 시행 직후 2년간 올랐다가 지난해 53위로 16계단 내려앉았다”며 “지정감사제는 회계 투명성 개선에 별 도움이 안 된다는 방증”이라고 했다.
한국의 에너지 효율은 선진국 중 최하위권이다.
한국은 국내총생산(GDP)을 1000달러 늘리는 데 석유환산 기준으로 0.172t의 에너지를 쓴다는 뜻이다. 철강 석유화학 등 에너지를 많이 쓰는 제조업이 많은데다 서비스업 비중이 낮은 산업 구조가 주요인이지만 지금보다 에너지 효율을 더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세계 각국은 경쟁적으로 에너지 효율 정책을 펴고 있다. 독일은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데이터센터의 재활용 에너지 사용 비중을 2027년 7월 15%, 2028년 7월 20%로 높이도록 했다. 법안은 또 기업들이 폐열 발생 비율을 축소하고 재사용하도록 의무화했다. 일본은 신축 주택의 단열 효율 기준치를 40% 높인 개정 에너지효율법을 지난 4월부터 시행했다.
싱가포르 환경청은 3월 판매되는 제품의 에너지 효율 기준을 강화하는 방안을 내놨다. 이에 따라 싱가포르에서 판매되는 에어컨, 냉장고, 의류건조기, TV 등은 일정 수준의 에너지 효율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기준에 미달하면 싱가포르에서 제품을 팔 수 없다.
삼성·하이닉스 반도체 기업들이 수자원 관리에 공을 들이고 있다.
‘물 먹는 하마’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물을 사용하는 반도체 산업에서 물은 핵심 자원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폐수를 깨끗이 정화해 방류하는 것은 물론 수원지에서 끌어 쓰는 물의 양을 줄이기 위해 폐수를 재활용하기도 한다. 반도체 공장 방류수는 과거 오·폐수로 여겨졌지만, 최근 오히려 주변 하천의 생태계를 재생시키는 ‘착한 물’로 주목받고 있다.
반도체는 먼지 입자 하나만 내려앉아도 품질에 치명적인 결함이 생긴다. 물로 씻어내는 공정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웨이퍼를 깎은 뒤 나오는 부스러기, 반도체에 주입하고 남은 이온 등은 모두 미립자마저 제거된 ‘초순수’로 씻어낸다.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가스를 제거하는 ‘스크러버’ 공정도 물을 쓴다, 지난해 기준 삼성전자 경기 기흥·화성 등 반도체 전 사업장에서 사용한 물만 하루 평균 31만t에 달한다. 반도체 기업들이 물 관리에 사활을 거는 이유다.
재고 줄어드는 ‘메모리 반도체’ … 4분기 본격 반등 전망
지난해 상반기를 고점으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매출도 감소세다. 개인용 정보기술(IT) 기기 수요가 줄면서 재고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격과 재고 추이에서는 희망의 빛도 감지된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올 3분기까지 하락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그 폭은 크게 줄어들고 있다. 계속 쌓이기만 하던 재고도 곧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올 4분기부터는 가격이 상승 반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6.13(화)
현대차그룹, 배당 받아 전기차 투자…"빌리는 돈 줄이고 경상수지 개선 기여"
현대차 미국법인은 2020년 3001억원을 벌어들이며 흑자로 돌아선 뒤 2021년 1조285억원, 지난해 2조5494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12일 현대차그룹이 역대 최대 규모인 59억달러(약 7조8000억원)의 해외법인 유보금을 국내 본사에 배당하기로 결정한 배경이다. 이번 국내 배당에는 인도법인, 체코생산법인 등도 참여했다. 지난해 인도법인은 7109억원, 체코생산법인은 6801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기아는 이번에 33억달러를 들여온다. 미국법인, 오토랜드슬로바키아, 유럽법인 등이 참여했다. 기아 미국법인 역시 지난해 2조5255억원을 벌어들이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경영 실적이 개선되면서 많은 잉여금을 보유한 해외법인이 이번 본사 배당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정부의 법인세법 개정도 현대차그룹의 ‘자본 리쇼어링’(reshoring:본국회귀)에 큰 역할을 했다. 작년까지는 해외 자회사의 잉여금이 국내로 배당되면 해외와 국내에서 모두 과세된 뒤 일정 한도 내에서만 외국 납부세액을 공제받아 사실상 ‘이중과세’의 부담을 떠안아야 했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해외에서 이미 과세된 배당금에 대해서는 배당금의 5%에 한해서만 국내에서 과세하는 방식으로 법이 개정됐다.
현대차그룹의 자본 리쇼어링은 우선 그룹 재무구조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분야에 24조원을 투자할 계획인 현대차그룹은 이번 해외법인 유보금 배당 덕분에 그만큼 차입을 줄일 수 있게 됐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배당금을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 제품 라인업 확대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국내 경상수지 개선 효과도 기대된다. 지난 4월 경상수지는 한 달 만에 7억9000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이는 외국인 배당으로 인해 배당소득수지가 5억5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한 영향이 컸다. 현대차 해외법인의 국내 배당은 배당소득수지 흑자 전환을 통한 경상수지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국내 달러 공급 증가에 따른 환율 안정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재계에선 삼성, SK, LG 등 글로벌 대기업들이 자본 리쇼어링에 동참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해외 소득의 국내 재투자를 통한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중국에서 ‘디레버리징(deleveraging·부채 축소)’이 본격화하고 있다.
수년간 돈을 빌려 각종 자산에 투자해오던 중국인들이 과도한 부채를 줄이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자칫하면 중국의 경제 성장세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경제는 레버리지(부채)와 함께 성장하고 이것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디레버리징으로 전환되며 수축한다.
중국은 빠른 경제 성장 기간 인프라 투자와 아파트 건설 등에 대규모로 투자해왔고, 이 과정에서 부채 규모도 급증했다.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작년 9월 기준 295%로 미국(257%), 유로존(258%)을 넘어섰다.
디레버리징 움직임은 민간, 기업, 정부에서 모두 나타나고 있다. 중국인들(민간)이 최근 지출을 줄이고 주택담보 대출 등을 갚기 시작하면서 ‘제로코로나(리오프닝)’를 해제했음에도 소비는 예상보다 늘어나지 않고 있다. 민간 기업들은 지출을 장려하는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기 불확실성 속에 추가로 투자하지 않고 있다. 지방 정부는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면서 세수가 줄자 모든 지출을 줄이고 있다. 올해 5월까지 300개 도시의 토지 판매 규모는 1년 전보다 26% 감소했다. 민간 부동산 개발업자들이 새로운 투자를 하지 않으면서 지방정부도 타격을 받고 있는 것이다.
과거 일본, 미국 등 다른 나라는 디레버리징에 실패하며 위기를 겪었다. 일본에서는 1980년대와 1990년대 부동산 거품이 붕괴하면서 차입자들은 낮은 금리에도 돈을 빌리지 않고, 기존의 부채 상환에 집중해야 했다. 이후 일본 부동산 시장의 수요가 급감했고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이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졌다. 미국은 2000년대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가 2009년 금융 위기를 촉발했다. 맥킨지의 연구에 따르면 대공황 이후 45번의 디레버리징 과정에서 32번은 금융위기가 뒤따랐다.
경제학자들은 다만 중국 중앙 정부가 재정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극심한 경기 침체나 금융위기에 빠지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정부가 다소 더딘 경제 성장을 용인하면서 이런 문제를 해결할 것이란 분석도 있다.
'글로벌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한경] 2023년 6월 넷째 주 (0) | 2023.06.29 |
---|---|
[주요한경] 2023년 6월 셋째 주 (0) | 2023.06.19 |
[주요한경] 2023년 6월 첫째 주 (0) | 2023.06.12 |
[주요한경] 2023년 5월 다섯째 주 (0) | 2023.06.12 |
[주요한경] 2023년 5월 넷째 주 (0)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