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뉴스📰 글로벌 스토리🌏

모빌리티🚗/배터리🔋/IT📱

배터리🔋 168

[배터리] K배터리 3분기 실적 부진 이유...삼중고

출처 : 서울경제 "전기차 둔화에 中 과잉생산·리튬값 급락 겹쳐…K배터리 '삼중고'" 글로벌 전기차 판매 둔화와 중국의 배터리 과잉 생산, 리튬, 니켈 가격 급락 등 단기간에 풀 수 없는 외부 변수들. “양극재 가격은 리튬 등 원료 가격과 연동되는 구조”라며 “3분기에는 과거 비싼 가격에 샀던 리튬으로 생산한 양극재를 낮은 가격에 팔게 되는 시차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배터리🔋 2023.10.22

[배터리] 삼성 SDI의 LFP 양산 청사진

출처 : 전자신문 "삼성SDI, LFP 배터리 속도전…양산 밑그림 완성" (2023-10-15) 삼성SDI는 울산에서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는데, 부지를 2025년까지 2배 정도(66만5000㎡ → 123만1850㎡) 확대해 LFP 배터리 핵심 기지로 활용할 계획이다. 울산에 시험 생산(파일럿) 라인과 양산 라인을 두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삼성SDI는 현재 연구소 단계에 머물러 있는 LFP를 상용화 및 양산 단계로 끌어올리려는 것으로, 2025년 이후 생산을 시작하는 '청사진'으로 풀이된다.

배터리🔋 2023.10.22

[배터리] 핵심광물 중국 의존도 심화

출처 : 중앙일보 "[단독] 제2 요소수 터지나…핵심광물 13종, 中 쏠림 심해졌다"(23.10.12) 리튬·흑연·텅스텐 등 13종의 대중 수입 비중은 2017년 대비 2022년에 오히려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흑연의 대중 수입 비중은 2017년 80%에서 지난해 94%로 확대됐다. 중국은 핵심 원자재 51종 가운데 33종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데다, 저렴한 가격 등 이른바 '가성비'가 좋아 수입선을 쉽게 바꾸기 어렵다. "중국산 원자재가 제일 싸고, 지리적으로 가까우니 물류비도 적게 든다. 기업으로선 리스크가 있어도 대중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언제든 '제2의 요소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글로벌 변수에 취약한 한국은 이미 3고(고금리·고환율·..

배터리🔋 2023.10.12

[배터리] 연내 IRA 해외우려기관(FEOC) 발표와 대비

출처 : 매일경제 "美IRA 대응, 中기업과 합작땐 지분조정안 준비해야"(23.10.11) 미국에서 IRA에 따른 전기차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2025년부터 배터리에 비율과 관계없이 FEOC에서 조달한 핵심 광물을 쓸 수 없다. 지난달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3사와 포스코퓨처엠,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임원들은 돈 그레이브스 미국 상무부 부장관과 면담하며 관련 규정을 명확히 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 배터리업체들은 핵심 광물과 배터리 부품 조달에 있어 중국과 중국 회사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며 "반도체법에 따른 FEOC 정의를 그대로 차용하면 친환경차 세액공제 혜택이 무의미해질 수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규정하는 해외우려기관(FEOC) 지침 구체화에 대비..

배터리🔋 2023.10.12

[배터리] SK온-포드-에코프로비엠, 캐나다 양극재 공장에 1.2조 투자

2023.08.18. 기사 캐나다 퀘백주 베캉쿠아시(市)에서 양극재 공장 건립을 공식 발표했다. 3사는 베캉쿠아시 산업단지 내 27만8000㎡ 부지에 총 12억 캐나다 달러(약 1조2000억원)를 투자해 합작 공장을 짓는다. 연간 4만5000t 규모의 합작공장은 202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건설된다. 에코프로비엠이 2월 설립한 현지 법인 '에코프로 캠 캐나다'가 공장을 운영하고 SK온과 포드는 지분을 투자하는 형태다. 캐나다 연방정부와 퀘벡 주정부는 총 6억4400만 캐나다 달러(약 6400억원) 규모의 재정 지원을 약속했다. 이 투자로 자국 친환경 산업 육성과 배터리 공급망 구축에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했다. 3사는 북미에서 소재(양극재)와 부품(배터리), 완제품(전기차)으로 이어지는 가치사..

배터리🔋 2023.08.18

핵심원자재법(CRMA)

유럽연합(EU)은 특정 국가에 대한 원자재 의존도를 줄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EU가 최근 발표한 핵심원자재법(CRMA)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CRMA란 무엇인가요? CRMA는 Critical Raw Materials Act의 약자로, EU가 2030년까지 친환경 산업을 위해 필요한 핵심 원자재 공급망을 확보하고 다각화하기 위해 제정한 법안입니다. CRMA는 EU의 탄소중립 목표와 연계되어 있으며, 중국 등 일부 국가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CRMA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CRMA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3국에서 생산된 전략적 원자재 의존도를 역내 전체 소비량의 65% 미만으로 낮추기 - 전략적 원자재 최소 10%의 역내 추출·생산, 최고 4..

배터리🔋 2023.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