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뉴스📰 글로벌 스토리🌏

모빌리티🚗/배터리🔋/IT📱

배터리🔋 168

비야디(BYD)가 브라질 리튬 채굴업체 시그마리튬의 인수 가능성을 타진

출처 : 한국경제 (2024.1.16) 비야디에서 남미사업을 총괄하는 알렉산더 발디는 지난달 상파울루에서 아나 카브랄 가드너 시그마리튬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공급 계약 체결을 넘어 합작법인(JV) 설립 또는 인수 등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시그마리튬은 지난해 2월 미국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가 인수한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시그마리튬은 작년 4월부터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의 대규모 공장에서 리튬을 출하하기 시작했다. 현재 연간 27만t 수준의 리튬을 생산하며, 기업가치는 29억달러(약 3조8000억원)로 추정된다.

배터리🔋 2024.01.16

SK온, 4분기 흑자 전환 실패

출처 : 매일경제 (2024.1.10) 지난해 4분기 SK온의 영업손실이 395억원이라고 추산했다. 업적자가 지속되는 이유는 높은 금리 수준과 경기 침체 장기화로 전방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유럽과 중국 지역을 중심으로 전기차 수요가 둔화하고 있다. 1분기 3447억원이던 영업손실은 2분기 1315억원으로 줄었고, 3분기 861억원으로 손실 폭을 지속적으로 좁혔다. 한편 올해 SK온은 올해 헝가리와 중국 공장 증설이 완료되면서 기존 생산능력인 88기가와트시(GWh)의 72%에 달하는 신규 설비를 가동할 계획이다. SK온의 중국 옌청 공장은 올해 2분기 중 33GWh의 추가 생산능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헝가리 이반차 3공장도 올해 본격적으로 상업가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배터리🔋 2024.01.15

LG엔솔·GM 합작 배터리 2공장, 1분기 가동

출처 : 전자신문 (2024.1.14) LG에너지솔루션과 제너럴모터스(GM)의 미국 전기차 배터리 합작 2공장이 1분기 중 가동에 들어갈 전망이다. 지난해 말 양산을 목표했으나 건설 문제로 지연됐던 공장이다. “GM에서 가능한 빨리 공급해달라는 요청해 오고 있어 이르면 2월말이나 3월초에 생산을 시작할 예정”. 1공장은 40GWh 규모로 지난 2022년 11월 양산을 시작했고, 2공장에 이어 미시간주 랜싱에 3공장을 만들고 있다. 3공장은 2공장과 동일한 50GWh 규모다. 투자 계획은 전기차 시장 변화 만큼이나 최근 들어 자주, 빈번하게 달라지는 양상이다. SK온과 포드도 합작사 블루오벌SK 켄터키 2공장 가동을 2026년으로 계획했으나 연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포드, 튀르키예 코치그룹과 튀르키예에..

배터리🔋 2024.01.15

흑연 수출 통제나선 中, 한국기업엔 허가

출처 : 동아일보 (2024.1.15) 14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포스코퓨처엠에 대한 흑연 수출을 승인했다. 흑연은 이전부터 중국이 허가 대상으로 정해 수출을 통제해 오던 품목이다. 특히 지난해 12월 1일부터 기존 인조흑연에 더해 천연흑연까지 새로운 통제 대상에 올리면서 한국 기업들이 긴장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천연흑연 및 인조흑연의 중국 의존도는 각각 97%(천연), 74%(인조)에 달한다. “미리 흑연 재고를 확보하고 공급망을 다양화하고 있지만 중국을 완전히 탈피하기는 쉽지 않다”

배터리🔋 2024.01.15

LG엔솔, IRA 세액공제 매각 추진

출처 : 한국배터리산업협회 (2024.1.11)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첨단제조생산 세액공제(AMPC) 혜택을 제3자에게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AMPC를 미국 정부에 신청하고 수령하기까지는 약 1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 권리를 미리 매각해 현금화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서다. 업계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AMPC를 나눠달라는 제너럴모터스(GM)의 요구를 들어주는 동시에 선제적인 유동성 확보를 위해 이같은 방안을 추진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AMPC는 태양광과 풍력발전, 배터리 등 주요 제품의 제조를 미국에서 할 경우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다. LG에너지솔루션과 같은 배터리 업체들은 배터리 셀 제조 시 35달러(1㎾h 기준), 배터리 모듈 제조 시 45달러(1㎾h..

배터리🔋 2024.01.15

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 “원통형 배터리 개발 진전… 각형 개발 완료”

출처 : SK이노뉴스 (2024.1.11) “원통형 배터리 개발이 꽤 많이 됐다”. “고객마다 요구하는 사양이 다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해 3가지 배터리 폼팩터(파우치형, 각형, 원통형)를 다 개발하는 것” 원통형 배터리 생산에 성공하면 한국 배터리 업체로는 처음 3대 폼팩터(형태)를 모두 만들게 된다. “각형 개발은 이미 완료됐고, 원통형도 고민하다가 개발을 (상당 수준까지) 했다”며 “양산 시점은 고객들이 원하는 시기에 맞출 것” “이르면 2026년 LFP 배터리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 수석부회장은 “케미스트리(배터리용 화학물질)도 여러 가지 개발해 고객 기반을 넓히려 한다”

배터리🔋 2024.01.14

LG화학, 북미 최대 양극재 공장 첫 삽

출처 : 한국경제 (2023.12.21) 2026년부터 연간 최대 6만t 규모의 양극재 생산에 들어갈 방침이다. 제너럴모터스(GM)와 도요타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의 공급 계약으로 고객사도 이미 안정적으로 확보한 상태다. 반경 500~600㎞ 안에 대부분의 고객사가 있다. 테네시 공장에서 생산되는 양극재는 GM과 GM과의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에 공급된다. LG화학은 테네시 양극재 공장을 통해 고객사들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전기차 보조금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전기차 시장 연간 성장률이 30% 이상에서 20%대로 내려왔다”며 “하지만 세계 어느 산업을 봐도 연간 성장률이 20% 이상인 것을 찾아보기 힘들다. 성장 속도가 상대적으로 둔화하긴 했지만 경영 전..

배터리🔋 2023.12.21

정부가 사용후 배터리를 폐기물이 아닌 제품으로 인정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를 육성한다.

출처 : 한국경제 (2023.12.14) 정부는 내년에 사용후 배터리 재제조·재사용·재활용 산업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법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사용후 배터리에 대해서는 성능검사→유통 전 안전검사→사후검사 등 3단계 안전 점검 체계를 도입한다. 전기차 폐차 시 배터리 탈거 전에 성능 검사를 시행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폐기물이 아니라 제품으로 인정해 준다. 정부는 광물·소재·완제품 등 2차전지 산업 전 분야에 내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38조원 이상의 정책 금융을 지원한다. 내년부터 시작되는 ‘차세대 2차전지 기술 개발 프로젝트’에만 5년 동안 1172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정부는 2차전지에 사용하는 핵심 광물의 공급을 안정화하기 위해 광업권·조업권 취득을 목적으로 한 해외 자원 개발 투..

배터리🔋 2023.12.14

LG엔솔, 유럽 전기상용차 시장 공략

출처 : 한국경제 (2023.12.09) 버스, 트럭 등 전기 상용차 시장은 일반 전기 승용차보다 배터리 탑재량이 11배가량 많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힌다. “폴란드 배터리 팩 제조·판매 업체 ICPT와 배터리 모듈 공급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계약으로 ICPT에 내년부터 3년간 총 20만 개의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 모듈을 공급한다. 대형 전기 상용차 3000여 대가량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ICPT는 LG에너지솔루션으로부터 공급받은 모듈을 팩으로 조립해 유럽 전기버스시장 점유율 1위 업체인 솔라리스버스&코치에 납품할 방침이다. 양사는 배터리 제조부터 전기버스 생산에 이르는 전 과정을 폴란드에서 진행하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브로츠와프 공장에서 생산한 N..

배터리🔋 2023.12.09